본문 바로가기

2023 상반기49

뇌신경공학 중간 review 1. 무릎(knee cap) 반사 1. 무릎에 자극을 준다. - 무릎 반사 과정에서 무릎을 가볍게 치면 2. 근육 감응기가 활성화 되며 감각 섬유를 통해 척수로 신호를 전달한다. - 근육 감응기(Muscle spindle)가 활성화되어 향입 섬유(Afferent fiber)를 통해 척수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3. 척수에서 억제성 신호와 운동신호가 발생한다. - 척수에서는 근육의 운동신경원과 억제성 인터뉴런이 활성화됩니다. 4. 억제성 신호는 후면근육(햄스트링), 운동신호는 전면근육에 도달한다. - 운동신경축삭(Motor axon)을 통해 억제 신호와 운동 신호가 전달된다. 5. 후면 근육은 억제되고, 전면 근육은 수축하며 다리가 들리는 반응이 일어난다. - 햄스트링은 억제되고 전면에 위치한 근육은 활성화.. 2023. 4. 26.
Approximate Pattern Matching Approximate Pattern Matching 패천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부분 문자열을 찾는 과정 Exhaustive search 적용 방법 여기서 k 는 mismatch를 얼마나 허용할건지에 대한 변수이다. 시간복잡도: O(nm) 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한 방법 같으면 +0, 다르면 +1 A G C C T T G A T 0 0 0 0 0 0 0 0 0 0 G 0 1 0 1 1 1 1 0 1 1 C 0 1 2 0 1 2 2 2 1 2 A 0 0 2 3 1 2 3 3 2 2 T 0 1 1 3 4 1 2 4 4 2 가장 아래 값이 K이하인 경우 accept 2023. 4. 26.
폐활량 진단 방법 출처: 식약처 진단폐활량계 성능평가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2011.06 국내 폐활량검사 정상예측식으로는 한국인의 폐활량 정상예측식이 주로 사용된다. FVC: 최대 노력호기 중 한 호흡으로 나간 총 호기량 FEV1: 최대 노력호기 중 첫 1초간의 배출된 호기량 센서: yf s201 2023. 4. 26.
뇌신경 중간 대비 1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4. 22.
의용계측 중간 시험 대비 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4. 21.
심음(heart sound) 1. 심음(heart sound) - 심장 박동 시 판막의 개폐, 혈류의 加減速에 의해 생기는 진동의 결과로 가청주파수 대역(20~20000Hz)에서 나타남 - 심장 박동 1주기 동안 4번의 심음이 발생 2. 심음도(phonocardiogram, PCG) - 심음이나 심잡음(murmur)을 그래프로 기록한 것 1. 좌심실이 열리면서 피가 오고 이후 좌심실이 닫히고 심장이 수축 2. 좌심실 안의 압력이 증가하고 대동맥과 압력차가 발생 3. 압력으로 Aortic valve(대동맥 판막)이 열리면서 혈액이 박출 4. Aortic valve(대동맥 판막)이 다시 닫힌다 심음: 심음이나 심잡음을 기록한 것 소리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을 해소 심음과 심잡음을 심박동 주기 내에서 일어나는 기계적, .. 2023. 4. 19.